여름 불기운에 가을의 쇠 기운이
세 번 굴복한다.
위의 글은 삼복(三伏)이라는 단어에 뜻이다.
보통 예로부터 여름은 불의 기운이 있고, 가을은 쇠의 기운이 있다하였다. 그래서 여름의 기운이 가을을 세번 굴복시킨다는 뜻에서 석삼(三), 엎드릴복(伏)자를 써 삼복이라 하였다고 한다.
삼복은 주로 음력 6~7월에 10일간격으로 초복, 중복, 말복이 있으며 이 시기가 여름중 제일 더운 날이기에 삼복더위라고 불렀다. 삼복이 시작된건 진나라때부터라고 하는데 풍류를 즐길 줄 아는 우리민족의 특성과, 여름이라는 느낌이 맞물려 우리의 문화로 자리 잡았으리라.
복놀이, 복달음
매년 복날에는 시원한 개울가에 앉아 개장국을 끊여먹었다고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개는.. 맞다. 그 개다. 개를 먹게된 이유는 다양한데, 가을의 기운인 쇠의 기운을 받아 여름의 불의 기운을 누르기 위해 쇠의 기운이 많은 개를 잡게 되었다고 한다. 개울가에서 개장국을 먹는것을 복놀이, 또는 복달음이라고 했으며, 함경도 지방에서는 개를 잡는 것을 개놀음 이라고 불렀다고 하니, 복날엔 개들이 꼬리를 감추고 숨어 지내야 하지 않았을까?
그밖에 수박, 참외 등을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하여, 팥죽과 함께 즐겼다고 하니 역시 먹는거 하나는 우리나라 사람을 따라 올 사람이 없을지도 모르겠다..(이전컨텐츠 대식국 참조)
복날, 농사를 점치다
복날, 비가 오면 보은 처녀가 운다.
선조들은 복날의 날씨로 농사의 점을 쳤다는데, 복날마다 벼가 한 살씩 나이를 먹는다 하여 초복날 한살이 되는 벼를 위한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보통 초복날의 날씨에 따라 풍년이냐 흉년이냐를 점쳤다고 하는데 이것도 지방마다 달랐다.
벼 농사를 주로 하는곳에서는 초복날 비가 오면 농사비라 하여 풍년을 이야기 했고, 대추를 주로 심는 보은지역에서는 복날 비가오면 처녀가 운다하여 흉년을 점쳤다. 대추가 초복쯤에 열매를 맺기때문에 생긴 차이였다.
요즘은 복날 삼계탕을 먹기도 하고, 장어 등을 먹기도 한다. 어딘가에서 본 육개장의 시초도 개장국에서 개가 빠지고 소고기를 넣으면서 육개장이 되었다고 한다. 무엇을 먹든 건강하게 더운 여름을 나고, 가을을 준비하는 선조들과 함께 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은 어떨까?
'인문 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극과 4괘, 여백(태극기 그리기) (0) | 2025.04.02 |
---|---|
이 동물은 혹시 "봉"이요? (0) | 2025.03.31 |
왜 'Korea'일까요? (0) | 2025.03.31 |
임해군 스캔들 (0) | 2025.03.28 |
버림받은 환향녀(還鄕女) (0) | 2025.03.26 |